"'연꽃이 피는 연못’이라는 뜻인 애련지(愛蓮池)는 창덕궁 불로문(不老門)을 지나 왼쪽에 자리하고 있고, 애련지 북쪽에 서 있는 간결한 정자가 애련정(愛蓮亭)이다.
애련지는 부용지와 달리 가운데 섬이 없는 방지(方池)로, 사방을 장대석으로 쌓아올렸다. 입수구가 독특한데, 흘러내리는 도랑물을 물길을 따라 폭포수처럼 떨어지게 만들었다. 원래는 연못 옆에 어수당(魚水堂)이라는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애련정은 숙종 18년(1692)에 애련지의 물가에 지은 것으로, 정면 1칸, 측면 1칸의 이익공의 사모지붕 양식을 띠고 있다. 일반 건물에 비해 추녀가 길며 추녀 끝에는 잉어 모양의 토수가 있다. 물 기운으로 불 기운을 막는다는 음양오행설에 기초한 것이다, 건물을 받치는 네 기둥 가운데 두 기둥은 연못 속에 잠겨 있는 초석 위에 세워져 있다. 정자 사방으로 평난간을 둘렀는데, 낙양창 사이로 사계절이 변하는 자연을 감상할 수 있다.
‘애련’이라는 이름은 송나라의 유학자 주돈이가 쓴 ‘애련설(愛蓮設)’이라는 시에서 유래했다. 숙종이 지은 ‘애련정기(愛蓮亭記)’가 ‘궁궐지(宮闕志)’에 전한다.
의두합(倚斗閤)은 애련지 남쪽에 있으며 금마문(金馬門)을 들어서면 좌측에 위치한다. 세자가 학문을 연마하기 위한 독서공간으로 건립되었다. 원래는 독서당(讀書堂)이 자리한 곳이었는데 순조 27년에 재건립하여 기오헌(寄傲軒)이라고 이름지었다. 순조의 맏아들인 효명세자(孝明世子)가 이곳에서 독서를 했다고 전해진다. 집의 방향은 독특하게 북향이며 단청을 하지 않았다.
의두합 바로 옆에는 창덕궁에서 가장 작은 건물 운경거(韻磬居)가 있습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애련지와 애련정:
불로문(不老門):
의두합 입구 금마문(金馬門):
의두합(倚斗閤)과 운경거(韻磬居):
의두합(倚斗閤): 현판은 기오헌(寄傲軒)
의두합(倚斗閤) 설경:
운경거(韻磬居):
'우리나라 - 답사지 >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창덕궁 후원 - 존덕정 일원 (0) | 2014.02.09 |
---|---|
서울 창덕궁 후원 - 연경당(보물 제1770호) (0) | 2014.02.09 |
서울 창덕궁 후원 - 부용지와 주합루 (0) | 2014.02.09 |
서울 창덕궁 - 성정각 일원 (0) | 2014.02.09 |
서울 창덕궁 - 대조전(보물 제816호) 일원 (0) | 2014.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