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회루(慶會樓)는 왕이 신하들과 규모가 큰 연회를 주재하거나 외국 사신을 접대하던 곳이다. 연못에서 뱃놀이를 즐기고 경회루에 올라 인왕산과 궁궐의 장엄한 경관을 감상하는 왕실 정원으로 꾸몄다. 창건 당시 작은 누각이었던 경회루는 1412년(태종 12)에 연못을 크게 확장하고 누각도 큰 규모로 새로 지었다. 임진왜란으로 불타 돌기둥만 남은 것을 1867년에 재건하였다. 

경회루는 정면 7칸, 측면 5칸의 중층이며, 넓이 931㎡의 대규모 목조건물이다. 1층은 48개의 높은 돌기둥들만 세우고 비웠으며, 2층에 마루를 깔아 연회장으로 이용했다. 마룻바닥은 중앙의 3칸 중궁(中宮) 부분이 가장 높고, 그 다음 12칸은 한 뼘 정도 낮고, 바깥쪽 20칸은 다시 한 뼘쯤 더 낮은데, 중앙으로 갈수록 높은 품계의 관료들이 앉았다.

경회루는 주역(周易)의 원리에 기초하여 지었다는 옛 기록이 있다. 이에 따르면 중앙의 3칸은 천지인(天地人)을, 12칸은 1년 열두 달을, 20칸 바깥에 있는 24개의 기둥은 24절기를 의미한다. 높낮이 경계 부분에는 들어열개(위쪽으로 들어 여는 문) 창호가 달려 있어 창호를 내리면 각각 닫힌 방이 된다. 추녀마루에는 우리나라 건물 가운데 가장 많은 11개의 잡상(雜像, 지붕 위 네 귀에 여러 가지 神像을 새겨넣은 장식 기와)이 있다. 재건 당시에 청동으로 만든 두 마리 용을 연못에 넣어 물과 불을 다스리게 했다 하며, 1997년 준설공사 과정에서 출토하여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하고 있다. 경회루는 국보 제224호로 지정되어 있다.


광화문 앞 육조거리에 있던 관청들을 궐외각사라 하고, 궁궐에 들어와 있는 관청들은 궐내각사라고 불렀다. 

근정전 서쪽에 위치한 궐내각사는 크게 네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승정원, 홍문관, 예문관, 교서관 등은 왕을 가까이에서 보필하는 정치행정기구였다. 내반원, 상서원, 상의원, 사옹원, 사복시 등은 왕족의 생활과 활동을 보좌하던 실무 관서였다. 흠경각, 보루원, 관상감, 간의대 등은 천문과 시각을 관측하는 과학 부서였고, 도총부, 내병조, 선전관청, 충장위 등은 궁궐 수비와 왕족 경호를 맡은 군사 부서였다. 

궐내각사 가운데 현재 유일하게 남아 있는 수정전(修政殿)은 세종 때 한글 창제의 산실인 집현전으로 쓰였던 곳이다. 1867년 수정전은 왕의 출입이 빈번하여 관청 건물로는 드물게 정면에 월대를 두었다. 수정전은 일상 집무공간으로 사용하다가, 1894년 갑오개혁 때 내각 본부인 군국기무처로 사용하기도 했다. 궐내각사는 수정전 앞 빈 터에 밀집되어 있었는데,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를 개최하면서 완전히 철거되었다. 수정전은 보물 제1760호로 지정되어 있다." (출처: 경복궁 리플리트)


경회루(慶會樓): 국보 제224호



함홍문(含弘門): 경회루로 들어가는  동쪽 문


수정전(修政殿): 보물 제1760호

+ Recent posts